어떤 약국을 선택하고 어떤 약국을 버려야 하는가?
1.월수익이 600만원 미만의 약국은 대체로 위험하고 나쁜 약국이다.
2.월조제료가 700만원 미만의 층 약국은 대체로 위험하고 나쁜 약국이다.
3.일매가 부풀려 졌고 월조제료가 600만원 미만의 나 홀로 약국이면 위험하다.
4.권리금, 보증금이 많이 적고 수익이 적은 약국은 대체로 위험하고 나쁜 약국이다.
5.조제료와 일반매출이 많아도 수익성이 떨어지는 약국은 위험하고 나쁜 약국이다.
6.투자대비 수익성이 떨어지는 약국은 위험하고 나쁜 약국이다.
7.일반매출 위주의 약국으로 카운터를 고용하고 있는 약국은 대체로 위험하다.
8.조제료 할인 및 난매를 하는 경쟁이 치열한 약국은 대체로 위험하다.
9.권리금, 보증금, 임대료가 많이 싸다고 생각되면 대체로 위험하다.
10.임대료를 싸게 해주고 보증금을 많이 받는 약국으로 개국한지 얼마 안 된 약국은 위험하다.
11.조제료가 많아도 시세보다 임대료가 너무 비싸거나 자주 큰 폭으로 올리는 약국은 위험하다.
12.낙후 된 지역의 재개발지역으로 계획되어 있는 약국은 위험하다.
13.개국한지 몇 년 안 돼 약국장이 여러 번 바뀐 약국은 대체로 위험하다.
14.약국임대점포가 매매가치 이상으로 근저당이 과도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위험하다.
15.틈새 개원이나 틈새 개국을 허락할 수 있는 입지환경을 가진 약국은 위험하다.
16.병의원이 임대하는 권리금, 보증금을 많이 요구하는 약국은 위험하다.
17.병의원이 임대하는 약국으로 별도의 리베이트를 받는 약국은 위험하다.
18.파트너 병의원 원장이 경영능력이 떨어지거나 신용불량자인 경우는 위험하다.
19.개원한지 2년 이상이고 원장이 젊고 처방이 적은 병의원을 파트너로 하면 위험하다.
20.병의원이 약국점포 주인으로 전세금, 보증금, 임대료를 자주 올리면 위험하다.
21.신규 병의원을 파트너로 하는 신규 약국자리로 보증금, 바닥 권리금이 과하면 위험하다.
22.의원한곳에 의존하며 월조제료가 600만원 미만의 조제전문약국은 위험하다.
23.임대조건이 좋은 것 같은 약국점포라도 검증되지 않은 신규 점포는 위험하다.
24.분양, 임대의 경우 조제건수, 일반매출에 대한 검증 또는 보장이 안 된 점포는 위험하다.
25.신규 약국자리로 비전이 있어 보여도 바닥 권리금, 보증금, 임대료가 과하면 위험하다.
26.중대형약국으로 권리금을 포함하여 총 인수자금이 생각보다 싼 약국이면 위험하다.
27.10년 미만의 신도시에 개국 2년 미만의 약국으로 권리금, 보증금이 비싼 약국은 위험하다.
28.공개매물로 약국매매정보가 3회 이상 노출된 약국이라면 문제가 있고 위험하다.
29.신축점포, 특히 신도시 신축점포로 보증금이 많고 임대료가 싼 약국자리는 위험하다.
30.메리트가 있어 보이지만 특혜를 주는 것처럼 계약을 서두르는 약국은 위험하다.
31.약국근무환경이 나쁜 약국은 다시 매도하기 어려운 투자대비 수익성이 나쁜 약국이다.
32.약국을 재매도 할 때 투자자금 회수가 어렵다고 생각되는 약국은 위험한 약국이다.
33.나의 경영능력에 맞지 않는 약국은 나에게는 나쁜 약국이다.
34.위장점포를 가지고 개국이 허가된 약국은 인수 후 허가받기 어려운 위험한 약국이다.
35.공인중개인이라도 약국시장경제를 모르는 일회성 브로커의 추천매물은 위험하다.
36.약국전문 중개인이라도 약국시장경제를 모르고 개국타당성분석을 할 줄 모르면 위험하다.
37.개설등록을 체크하지 않거나, 권리계약서, 점포계약서를 정확하게 쓰지 않으면 위험하다.
38.등기매매 계획이 있는 약국을 임대로 매수하는 경우 확실하게 특약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39.병의원의 이전계획을 체크하지 않고 설마하고 약국을 매수하면 간혹 큰 피해를 볼 수 있다.
40.병의원이 향후 이전할 수 있는 사실을 예측하지 못하고 약국을 매수하면 큰 피해를 볼 수 있다.